Friday, September 23, 2016

올드독의 제주일기

이번주 이야기는 http://webtoon.daum.net/webtoon/viewer/38885

홍보에 스토리가 필요하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되어버린 세상이다.

항상 그렇듯이 원칙을 다들 알고 있더라도 그걸 실행하는 것은 언제나 어렵다. 올드독의 제주일기는 제주홍보에 스토리를 부여하는 작업을 다른 누구보다 잘하고 있다.
-------------------------------
Visit http://ipporn.net

Thursday, September 22, 2016

'중국의 감춰진 농업혁명' (황충쯔 저, 진인진 출판, 2016.6.27.)

http://blog.naver.com/hong8706/220814814044

'중국의 감춰진 농업혁명' (황충쯔 저, 진인진 출판, 2016.6.27.)

'시장을 보는 눈' 블로그에서 소개한 책이다.

근현대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주제 중의 하나인, 왜 서구는 과학혁명-산업혁명을 이루었고 중국은 그러하지 못했는가라는 질문과 연결되는 주제이다.

위에 먼 인용한 블로그 글에서 포메란츠 교수는 18세기 영국과 중국의 농업 생산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고 주장하고, 황충쯔 교수는 18세기 들어 큰 격차가 생겼고 이로 인해 영국은 산업혁명이 가능했으나 중국은 불가능했다고 주장하는 듯 하다. 책의 결론이 거기까지 간 것 같지는 않지만 그 기저에 깔려 있는 문제 의식은 그것일 것이다.

포메란츠-황충쯔 논쟁은 과학혁명 문제에 대한 답은 제공하지 못한다.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위한 기저 조건으로서의 농업 생산성 향상이 있었느냐에 대한 논쟁이기 때문이다. 의미있는 논쟁이다.

논쟁과 관련 있지만 별개의 문제로, 과학혁명-산업혁명의 관계가 불가분으로 논증되어야 한다. 16세기 이후 서구에서 진행된 과학혁명은 그 자체만으로 산업혁명의 기반이 될 수는 없었고 농업 생산성 향상이라는 추가적인 기반이 필요했던 것인가? 아니면 농업 생산성 향상은 농업 분야에서 일어난 과학혁명이었던 것인가?

(위 블로그에서 쓴 '농업혁명'이라는 말은 나는 일부러 '농업 생산성 향상'이라는 말로 바꾸어썼다.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는 인간이 농업을 주된 생산방식으로 채택하게 된 과정은 농업혁명이라고 부르는데, 같은 단어가 다른 시대적 사건을 지칭하는 혼돈이 있는 것 같아서.)

과학혁명-농업생산성향상-산업혁명이라는 단계로 간다고 전제를 해야 하는 것인가? 아니면, 과학혁명이 있고 과학적 발견들이 제조업 분야의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하는 와중에 농업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져서 농업 분야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제조업 분야로 이동하면서 산업혁명에 가속화되었다고 봐야 하는 것인가의 문제이다.
-------------------------------
Visit http://ipporn.net

니카라과 마나과

내 공무원 생활의 대부분이 출장 가는 업무여서 많은 나라들을 방문했다. 그런데 그 동안에 안 가본 나라를 올해에 많이 간다. 에콰도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파나마. 좀 있다가는 이스라엘도 갈 예정이고,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더 남쪽의 축구와 열정의 나라들에도 가게 될 듯.

지금은 니카라과의 수도 마나과의 호텔에 들어와 있다. 호텔에 막 들어왔을 때가 항상 그렇듯이 식량 부족과 수면 부족의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좀 있다 자러 가야 한다.
-------------------------------
Visit http://ipporn.net

러시아의 코로나 확진자 증가 추세

연해주 지역은 9월만 해도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60명대로 떨어져서 조만간 종식되는가 했었는데, 10월 되니까 숫자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10월 19일에는 115명이 신규 확진. 3명 사망.  러시아 전체로는 신규확진자가 10.19일에 1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