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January 31, 2018

뉴욕주의 바이 어메리칸 법 발효

미국의 뉴욕주에서 2017년 6월 21일에 뉴욕주 바이 어메리칸 법(New York Buy American Act)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2018년 4월  1일에 발효하며,

2020년 4월 15일에 자동 만료하고 폐기된다.

주요 내용은 특정 기관에서 조달하는 지상도로 및 교량의 건설과 보수 사업 중에서 100만달러 이상의 사업에 대해서는 구조용 철강은 미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는 내용이 계약에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서 미국산 철강이라는 의미는 주조(melting) 단계에서부터 코팅 단계까지가 모두 미국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하지만 강철 추가재의 정제와 관련된 제철과정(metallurgical process)는 미국내에서 이뤄져야 하지는 않는다.

all contracts over $1 million for the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surface roads and bridges awarded by th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he office of general service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nstruction fund, the dormitory authority,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the bridge authority, or the thruway authority must include a provision requiring that all structural iron and steel used be made in the United States. The requirement also applies to the initial melting stag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atings, but not metallurgical processes involving the refinement of steel additives.

GPA의 문법으로 다시 구성하자면,

(1) 대상 기관

뉴욕주의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ffice of General Servic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의 construction fund, the dormitory authority,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the bridge authority, or the thruway authority

(2) 대상 물품/서비스

지상도로 및 교량의 건설과 보수

(3) 기준금액

100만 달러


미국의 GPA 양허에서 뉴욕주 부분은 아래와 같다.

25  NEW YORK*
25.1.  The following entities of the State:
1.    State agencies;
2.    State university system;
3.    Public authorities and public benefit corporations.
25.2.  For the entities included for the State of New York, this Agreement does not cover:
1.    procurement by public authorities and public benefit corporations with multi-state mandates; or
2.    procurement of transit cars, buses, or related equipment.

부속서 2의 일반 주해에 아래 내용이 있다. 뉴욕주에도 아스테리스크가 있으니 아래 주해는 뉴욕주에도 적용된다. 건설용 강철의 조달은 적용 제외이다. 주목할 점은 하도급 계약에도 적용 제외라는 점이다.

1.    Asterisk (*) next to a state indicates pre-existing restrictions. For those states, this Agreement does not cover procurement of construction-grade steel (including requirements on subcontracts), motor vehicles, or coal.

미국의 GPA 양허와 뉴욕 바이어메리컨 법을 비교해 보면,

(1) 대상기관: 뉴욕 바이어메리컨 법에 포함된 뉴욕주의 기관들은 미국의 GPA 양허에서 대상기관에 포함된 기관들이다.

(2) 대상 서비스: 뉴욕 바이어메리컨 법에서 다루는 내용은 건설서비스이다. 미국의 GPA 양허에서 주정부에 대해서는 건설서비스 전체가 개발되어 있다.

(3) 기준금액: 뉴욕 바이어메리컨 법에서 기준금액은 100만 달러이다. 미국의 GPA 양허에서 주정부의 건설서비스에 대한 기준금액은 500만SDR이며 약728만달러이다.

분석하자면, 뉴욕주의 바이어메리컨법은 대상기관, 기준금액에 있어서는 미국의 GPA 양허 대상인 조달계약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뉴욕 바이어메리컨법에 포함된 대상기관은 전부가 양허기관이다. 기준금액으로는 뉴욕 바이어메리컨법이 100만달러로 설정되어 있고, 미국의 GPA 양허가 728만 달러이므로, 뉴욕 바이어메리컨법의 대상 중 100만~728만 달러 사이의 계약은 미국 GPA 대상이 아니지만 728만 달러 이상의 계약은 GPA 대상이다.

조금 까다로운 문제는, 뉴욕주 바이어메리컨법에서 대상으로 하는 '지상도로 및 교량의 건설 및 보수’라는 서비스가 미국 GPA 양허에 포함되는지이다. 기본적으로는 미국 GPA는 모든 건설서비스를 적용대상으로 양허했다. 하지만 지방 정부의 양허에서 건설용 강철의 조달(subcontracts도 포함)을 제외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 가지 해석은, 뉴욕주 바이어메리컨 법에서 대상으로 하는 “지상도로 및 교량의 건설 및 보수”와 ‘건설용 강철’은 다른 조달이며, 따라서 ‘건설용 강철’을 양허 제외했다 해서 ‘지상도로 및 교량의 건설 및 보수’의 조달이 양허 제외되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 해석에 따르면, 미국 뉴욕주 바이 어메리컨법은 WTO GPA의 미국 양허와 위배된다.

다른 해석은, ‘건설용 강철’의 조달은 ‘건설 및 보수’의 조달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종종 ‘건설 및 보수’의 조달의 일부로 ‘건설용 강철’의 조달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건설용 강철’의 조달을 양허 제외한 것은 ‘건설 및 보수’의 조달도 양허 제외한 것이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해석에 따르면, 미국 뉴욕주 바이어메리컨법은 WTO GPA의 미국 양허와 위배되지 않는다.

둘째 해석이 옳지 않다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서비스의 조달인 ‘건설 및 보수’와 물품의 조달인 ‘건설용 강철’ 조달의 관계는 서비스의 조달이 물품의 조달을 포함할 수 있을 뿐, 물품의 조달이 서비스의 조달을 포함하지 않는 관계이다. 건설 서비스의 단가 면에서도 500만불의 건설공사가 있을 경우 소요되는 강철의 가액은 50만불도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건설용 강철’의 조달이 ‘건설 및 보수’의 조달을 포함한다고 볼 수 없다.

이 반론에 대해서는 또 반론이 있을 수 있다. 미국 GPA 양허의 일반 주해는 하도급 계약에서의 요구사항도 양허제외하고 있다.

For those states, this Agreement does not cover procurement of construction-grade steel (including requirements on subcontracts), motor vehicles, or coal.

이 제외사항의 문구의 해석이 중요한데, 하도급 계약이 강철의 구매 계약에의 하도급 계약을 포함한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 면이 있다. 말하자면, 강철 공급업자가 있고 그 업자는 하도급 계약으로 melting에서 coating의 단계 중 일부 단계를 하도급으로 줄 수 있는데 그 하도급 단계에 대해서도 GPA 적용을 제외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 한편, 다른 해석은, 건설공사 계약이 있는데 그 계약의 하도급 계약으로 강철의 납품 계약이 있다고 할 경우 그 건설공사에서 강철의 공급을 위한 하도급 계약은 GPA 적용을 제외한다고 해석도 가능하다.

이 문구의 해석중 두번째 해석을 채택하는 경우, 미국 뉴욕주 바이어마리컨법은 WTO GPA의 미국 양허와 위배되지 않는다.

매우 tricky한 이슈인데, 현재로서 나의 생각은 뉴욕주 바이어메리컨법이 WTO GPA 상 미국 양허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모든 tricky한 질문들을 의미없게 만드는 단서 조항이 있다.

기존에 체결된 상호호혜적(reciprocal) 정부조달 무역협정과 미-캐나다 자동차 무역협정에 위배되지 않도록 운영해야 한다는 단서 조항이다.

3.  The  provisions  of  this section shall not apply if the governing board or body of such public authority, in  its  discretion,  determines that  such  provisions  would  result in unreasonable costs or that such iron, steel products or steel components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structural  iron  and  steel;  cannot  be produced or made in the United States in sufficient and reasonably available quantities or of satisfactory quality or design[.], or would result in the loss or  reduction  of federal  funding  for the subject contract or the ability to obtain such  federal funding would be limited or jeopardized by compliance with  this section;  or  there  is an immediate or emergency need existing for such structural iron, structural steel products or  structural  steel  components; or such steel or iron is not manufactured in the United States in sufficient and reasonably available quantities or of satisfactory quality or design to meet the authority's requirements; or obtaining for such iron,  steel  products  or  steel  components in the United States would increase the cost of the contract by an unreasonable amount; or for such iron, steel products or steel components i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or  repairs  of critical infrastructure that is necessary to avoid a delay in the delivery of critical services  that  could  compromise  the public  welfare;  or  a  reciprocal  trade agreement or treaty has  been negotiated by the state or by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on behalf  of or  including this state with a foreign nation or government for nondiscriminatory governmental procurement practices  or  policies  with  such foreign nation or government.

이 단서조항은 미국의 연방조달규정 Section 25에도 유사하게 들어가 있는 내용이다. 이 단서조항들에 따라서, 미국과 FTA 정부조달챕터를 체결한 국가와 WTO GPA 가입국은 바이 어메리컨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이 내용을 잘 모르고 있고, 그 때문에 한국도 바이 코리아 액트를 만들 수 있지 않느냐라고 말한다. 근데 바이 코리아 액트를 만들 때 우리와 FTA를 체결한 국가와 WTO GPA 가입국에 대해서는 예외 규정을 두어야 한다는 걸 잘 모른다. 이래서 협정 위반의 트랩에 걸리기도 한다.

Monday, January 29, 2018

Share of USA in World GDP (PPP) past, present and future

For reference, share of USA in World GDP (PPP)



Obviously, United States' share of global GDP adjusted for PPP is diminishing.

President Trump's Address at Davos

President Donald Trump's Davos Address


Thank you very much.

It’s a privilege to be here at this forum where leaders in business, science, art, diplomacy and world affairs have gathered for many years to discuss how we can advance prosperity, security and peace.

I am here today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American People, and to affirm America’s friendship and partnership in building a better world. Like all nations represented at this forum, America hopes for a future in which everyone can prosper, and every child can grow up free from violence, poverty, and fear.

Over the past year, we have made extraordinary strides in the United States. We are lifting up forgotten communities, creating exciting new opportunities, and helping every American find their path to the American Dream—the dream of a great job, a safe home, and a better life for their children.

After years of stagnation, the United States is once again experiencing strong economic growth. The stock market is smashing one record after another, and has added more than $7 trillion in new wealth since my election.

Consumer confidence, business confidence, and manufacturing confidence are the highest they have been in decades.

Since my election, we’ve created 2.4 million jobs. Small business optimism is at an all-time high. New unemployment claims are near the lowest we’ve seen in almost half a century. African American unemployment has reached the lowest rate EVER RECORDED in the United States. So has unemployment among Hispanic Americans.

The world is witnessing the resurgence of a strong and prosperous America.

I am here to deliver a simple message: There has never been a better time to hire, to build, to invest and to grow in the United States. AMERICA IS OPEN FOR BUSINESS AND WE ARE COMPETITIVE ONCE AGAIN.

The American economy is by far the largest in the world and we’ve just enacted the most significant tax cuts and reform IN AMERICAN HISTORY.

We massively cut taxes for the middle class and small businesses to let working families keep more of their hard-earned money.

We lowered our corporate tax rate from 35 percent, all the way down to 21 percent. As a result, millions of workers have received tax cut bonuses from their employers in amounts as large as three thousand dollars. The tax cut bill is expected to raise the average American’s household income by more than four thousand dollars.

And the world’s largest company, Apple, announced it will bring $245 BILLION DOLLARS in overseas profits home to America. Their total investment into the United States economy will be more than $350 billion over the next five years.

Now is the perfect time to bring your business, your jobs, and your investments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is especially true because we have undertaken the most extensive regulatory reduction EVER CONCEIVED. Regulation is stealth taxation. In the United States, like in many countries, unelected bureaucrats have imposed crushing anti-business and anti-worker regulations on our citizens with no vote, no legislative debate, and no real accountability.

In America, those days are OVER.

I pledged to eliminate two unnecessary regulations for every one new regulation. We have succeeded beyond our highest expectations. Instead of two-for-one, we have cut TWENTY-TWO burdensome regulations for every ONE new rule.

We are freeing our businesses and workers so they can thrive and flourish as never before. We ar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ATTRACTS capital, INVITES investment, and REWARDS production. America is the place to do business – so come to America where you can INNOVATE, CREATE and BUILD.

I believe in America.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 will always put America First. Just like the leaders of other countries should put their countries first.

But America First does not mean America alone.

 Donald Trump's speech at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8     
When the United States grows, so does the world. American prosperity has created countless jobs around the globe and the drive for excellence,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United States has led to important discoveries that help people everywhere live more prosperous and healthier lives.

As the United States pursues domestic reforms to unleash jobs and growth, we are also working to reform the international trading system so that it promotes broadly-shared prosperity and rewards those who play by the rules.

We cannot have free and open trade if some countries exploit the system at the expense of others. We support free trade, but it needs to be FAIR and RECIPROCAL.

Because in the end, unfair trade undermines us all.

The United States will no longer turn a blind eye to unfair economic practices, including massive intellectual property theft, industrial subsidies, and pervasive state-led economic planning. These and other predatory behaviors are distorting global markets and harming businesses and workers—not just in the United States, but around the globe.

Just like we expect the leaders of other countries to protect their interests, as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I will always protect the interests of our country, our companies, and our workers.

We will enforce our trade laws and restore integrity to the trading system.

Only by insisting on FAIR and RECIPROCAL trade can we create a system that works not just for the United States but for all nations.

As I have said, the United States is prepared to negotiate mutually beneficial bilateral trade agreements with all countries. This includes the countries in TPP 11, which are very important. We have agreements with several of them already. We would consider negotiating with the rest, either individually, or perhaps as a group, if it is in all of our interests.

My administration is also taking swift action in other ways to restore American confidence and independence. We are lifting self-imposed restrictions on energy production to provide affordable power to our citizens and businesses, and to promote ENERGY SECURITY for our friends around the world. NO COUNTRY should be held hostage to a single provider of energy.

AMERICA IS ROARING BACK – and now is the time to INVEST in the future of America. We have dramatically cut taxes to make America competitive. We are eliminating burdensome regulations at a record pace. We are reforming the bureaucracy to make it lean, responsive and accountable—and we are ensuring our laws are enforced fairly. We have the bes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world, and we have the best WORKERS in the world. Energy is abundant and affordable. There has never been a better time to come to America.

We are also making historic investments in the American military—because we cannot have prosperity without security.

To make the world safer from rogue regimes, terrorism, and revisionist powers, we are asking our friends and allies to invest in their own defenses and to meet their financial obligations. Our common security requires everyone to contribute their fair share.

My administration is proud to have led historic efforts, at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and around the world, to unite all civilized nations in our campaign of MAXIMUM PRESSURE to denuclearize the Korean peninsula. And we continue to call on partners to confront Iran’s support for terrorists and to block Iran’s path to a nuclear weapon.

We are also working with allies and partners to destroy jihadist terrorist organizations such as ISIS. The United States is leading a broad coalition to deny terrorists control of their territory and populations, to cut off their funding, and to discredit their wicked ideology. I am pleased to report that the Coalition to Defeat ISIS has retaken almost 100 percent of the territory once held by these killers in Iraq and Syria. There is still more fighting and work to be done to consolidate our gains. And we are committed to ensuring that Afghanistan never again becomes a safe haven for terrorists who want to commit mass murder of our citizens. I want to thank those nations represented here today that have joined in these crucial efforts. You are not just securing your own citizens, but saving lives and restoring hope for millions.

When it comes to terrorism, we will do what is necessary to protect our nation – we will defend our citizens, and our borders.

We are also securing our immigration system, as a matter of both national and economic security.

America is a cutting-edge economy, but our immigration system is stuck in the past.

We must replace our current system of extended-family chain migration with a merit-based system of admissions that selects new arrivals based on their ability to contribute to our economy, to support themselves financially, and to strengthen our country.

In rebuilding America, we are also fully committed to developing our workforce. We are lifting people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 because we know the single best anti-poverty program is a PAYCHECK.

To be successful, it is not enough to invest in our economy – we must invest in OUR PEOPLE.

When people are forgotten, the world becomes fractured. Only by hearing and responding to the voices of the forgotten can we create a bright future that is truly shared by all.

A nation’s greatness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roduction – a nation’s greatness is the sum of its citizens: The values, pride, love, devotion and character of the people who call that nation home.

From my first international G-7 summit, to the G-20, to the U.N. General Assembly, to APEC, to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and today at the World Economic Forum, my administration has not only been present, but has driven our message that we are all stronger when free and sovereign Nations cooperate toward shared goals—and shared dreams.

Represented in this room are some remarkable citizens from all over the world—you are national leaders, business titans, industry giants, and many of the brightest minds in many fields.

Each of you has the power to change hearts, transform lives, and shape your countries’ destinies. With this power, comes an obligation—a duty of loyalty to the people, workers, and customers who have made you who you are.

So together, let us resolve to use our power, our resources, and our voices, not just for ourselves, but for our people—to lift their burdens, to raise their hopes, and to empower their dreams. To protect their families, their communities, their histories, and their futures.

That’s what we’re doing in America, and the results are unmistakable. It’s why new businesses and investment are flooding in. It’s why our unemployment rate is the lowest it’s been in decades. It’s why America’s future has never been brighter.

Today, I am inviting all of you to become part of this incredible future we are building together.

Thank you to our hosts, thank you to the leaders and innovators in the audience, but most importantly, thank you to all the hardworking men and women who do their duty each and every day – making this a better world for everyone. Together, let us send our love and gratitude to them—because they make our countries run.

Thank you, God Bless You, and God Bless you all!






Wednesday, January 24, 2018

Chalie Munger on Bitcoin

워런 버핏의 중요한 파트너인 찰리 멍거가 2017년 12월 22일 University of Michigan's Ross School of Business에서 열린 행사에서 비트코인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강하게 표현했다.

Buffett partner Charlie Munger says bitcoin is ‘total insanity,’ avoid it ‘like the plague’

"You know it is one thing to think gold has some marvelous store of value because man has no way of inventing more gold or getting it very easily, so it has the advantage of rarity. Believe me, man is capable of somehow creating more bitcoin. … They tell you there are rules and they can't do it. Don't believe them. When there is enough incentive, bad things will happen."
Munger isn't the only big name in investing criticizing bitcoin in recent weeks.

만약 비트코인이 Zero 가치를 가진 데이터 쪼가리가 되는 것이 정해져 있다면 굳이 저런 말을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비트코인은 금과는 다른 재화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비트코인이 2100만개의 한계를 넘어서 더 많이 채굴할 수 있는 방법을 사람들이 찾아낼 것이라고 주장한다면 그게 어떻게 가능할지를 아이디어 차원에서라도 보여주는 게 좋지 않을까?

마치 쥬라기 공원에서 말콤처럼 공룡들은 결국 번식할 방법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한 어조이다. 그런 화법은 현인처럼 보이기 위한 방법이긴 한데, 비트코인 지지자들한테는 꼰대스런 주장으로만 들릴 것이다. 어떻게 2100만개의 한계가 뚫릴 수 있는지 러프한 아이디어 정도는 제시해야 대화가 되는 것 아닌가? 충분한 인센티브만 있다면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이다라고 말하는 건 무책임해 보이는데. 사토시 나카모토와 협력자들은 이미 수학적인 알고리즘으로 2100만개를 뚫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걸 보였는데, 그거에 대한 반론이 고작 "인센티브가 있으면 방법은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그렇다면 지금까지 풀리지 않은 여러 개의 수학 난제들은 인센티브가 없어서 못 푼 것인가?

더 중요한 건, 암호화폐라는 것이 가질 수도 있는 여러가지 가능성에 대해서는 귀를 닫고, 비트코인의 한계/문제점/루프홀에 대해서만 얘기하는 태도가 유시민씨와 닮아있다는 점이다.

지금의 암호화폐 열풍은 거품이 많이 끼어 있다고 생각하긴 한데, 그게 경제에 중대한 악영향을 주지 않는 한에서는 극단적 조치를 취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다만, 거래소가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게 운영되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고, 거래차익에 대한 세금 부과 정도의 제도가 필요해 보인다. 그 정도면 거품도 많이 빠질 것 같고, 그러면서 심각한 피해를 입는 개인들도 줄어들지 않을까 싶다. 이미 많이 잠긴 사람은 어쩔 수 없지만서도. 그리고, 환치기 수단으로 이용되는지에 대해서도 들여다봐야 한다. 요즘 돌아다니는 소문에 따르면 중국인들이 한국의 거래소를 이용해서 환치기를 많이 하고 있다고 하는데. 

암호화폐 논쟁을 보면서 생각나는 예전 아이디어

예전에 특허청 다닐 때 일이다.

지식재산권(특허, 상표, 저작권 등등)을 묶어서 거래 가능한 무형자산으로 만들어서 거래소에 올리자라는 아이디어를 생각한 적이 있었다. 지식재산 거래소라는 아이디어 자체는 새로운 건 아닌데, 그 거래소라는 것도 몇 개의 층위가 있다.

권리자(라이센서)와 이용자(라이센시)를 이어주자는 거래소가 있다. 이건 임대인과 임차인을 연결해주는 부동산 직방 같은 개념이다. 그건 특허청에서 제공하는 지식재산 검색 서비스에서 해결 가능하니까 별로 신박한 아이디어는 아니다.

내가 생각했던 건 여러 개의 특허/상표/저작권을 묶어서 포트폴리오로 만들어 누구나 사고 팔 수 있는 주식 같은 걸로 만들어서 시장에 던진다는 거였다.

바로 나오는 반박논리는, 그 포트폴리오의 가치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 가치가 평가 안 되는데 어떻게 사고 파느냐?

지금의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반박 논리와 유사하다. 암호화폐는 내재가치가 없고, 거래 차익을 노리는 투기성 거래 밖에 없기 때문에 거래를 금지해야 한다는 극단적 논리까지 나온다.

근데, 내재가치를 내놓으라는 주장은 20세기 초에 이미 쑥들어간 거 아닌가? 맑스의 노동가치설 이후에 노동의 가치 자체가 측정이 힘들다는 비판을 극복하지 못하고 교환가치만이 측정 가능한 유일한 가치라고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아는데.

물론 가치를 입증할 만한 증거가 있으면 좀더 편하고 신뢰할 만하긴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 하나에 사용료가 1년에 얼마 들어온다는 자료가 있으면, 그걸 바탕으로 특허 자산의 가치를 쉽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지식재산 포트폴리오가 대중(투자자)들이 받아들이기에는 암호화폐보다는 훨씬 거부감이 적을 것 같다.

하지만, 가치를 입증할 만한 증거가 없다 하더라도 시장에서 특정 가격에서 거래가 되면 그걸 인정하면 되는 것 아닌가? 굳이 그 물건의 내재가치가 없다는 설득력 부족한 주장을 펼 필요는 없어 보인다. 

알루미늄, 세탁기, 광발전 부품

미국 USTR이 대통령에 권고안 제출: 알루미늄, 세탁기, 광발전 부품에 대한 무역구제(safeguards) 조치 발동 가능. 대통령이 90일 내에 선포(proclamation)하면 세이프가드 발동


Saturday, January 20, 2018

JTBC 토론(2018.1.18.) - 가상화폐 신세계인가 신기루인가?



이 토론이 있는 줄은 모르고 사무실에 앉아 있었는데, 짬 내서 클리앙 들어갔더니 이 토론 이야기가 나오길래 다음.net에서 라이브로 해주는 걸 봤다. 집에서 호출하는 바람에 끝까지 보지는 못했다.

대략 정리하면,

유시민은 비트코인은 내재가치가 0이고, 현재의 현금이나 신용카드에 비해 거래의 안정성도 없고 거래비용도 높아서 쓸데가 없고, 많은 국민들을 투기의 광풍에 몰아넣는 사악한 물건이니까 "거래소를 폐지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 곁가지로 새끼 돼지는 커서도 돼지 밖에 안 된다라는 명확한 입장.

한호현은 무슨 얘기를 했는지 정확히 기억이 안 난다.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나온 듯 하다.

김진화는 비트코인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유시민의 주장에 동의하지만, 새로운 암호화폐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자체가 어차피 안 될 아이디어라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는 입장. 거래소를 폐지해야 한다는 유시민의 주장에 대해서도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미래의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서는 거래소 폐지는 반대한다는 생각.

정재승은 김진화의 주장과 유사했던 듯.

비트코인 혹은 암호화폐 전반에 대한 내 생각은, 이전에 쓴 글에서 별로 바뀌지 않았다. JTBC 토론을 보고난 후에도 여전히 그러하다.

첫번째 글: http://blog.theminsu.com/2017/12/blog-post_9.html
두번째 글: http://blog.theminsu.com/2017/12/blog-post_15.html

암호화폐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논점도 워낙에 많기 때문에 2시간 짜리 토론에서 다 다룰 수가 없는 것인데, 비전문가들 모셔놓고 얘기하라고 시키면 중구난방이 될 것은 뻔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론을 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한 번의 토론으로 뚜렷한 결론이 날 리는 없고, 두번 세번 네번 혹은 그 이상의 토론이 필요한데 그 준비작업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본다.

우선 유시민의 내재가치=0 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내재가치라는 게 어디 있나? 내재가치라는 게 측정가능한 것처럼 주장하면 막시즘하고 비슷하게 가는 것이다. 막시즘이기 때문에 싫다는 게 아니라, 내재가치를 전제로 하고 논의를 진행하면 현재의 경제학 패러다임과 안 맞는다는 것이다. 지금의 경제학에서는 재화의 가치가 내재가치에 바탕하지 않고 교환가치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합의에 바탕하고 있다. 내재가치라는 건 관념적으로 존재하지만 내재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내재가치 운운하지 말자는 것이 현재 경제학의 합의점이다.

쌀이라는 것은 관념적으로는 내재가치가 존재한다. 탄수화물과 비타민과 소량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사람에게 영양을 제공한다. 배 고픈 사람에게 쌀은 허기를 면하게 해주는 중요한 재화이기 때문에 돈을 주고 살 것이다. 배가 심하게 고픈 사람은 한 홉에 1만원을 주고라도 쌀을 살 것이다. 이때 쌀의 교환가치는 1만원이다. 하지만 배가 전혀 안 고플 뿐 아니라 한달 먹을 고기가 냉장고에 쟁여져 있는 사람이라면 쌀 한 홉에 100원도 줄 생각이 없을 것이다. 그런 사람에게 쌀의 교환가치는 0원이다. 내재가치 운운하는 게 현재의 경제학과는 안 맞는 것이다. 1비트코인을 2천만원 넘게 주고 사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교환가치는 2천만원이 넘는다. 내재가치를 왜 따지는가?

유시민이 이걸 몰랐을 리는 없다. 마인츠 대학 경제학 석사 아닌가? 상대가 반박 못할 것이라는 걸 알고 윽박질러서 넘긴 것이다. 이번 토론에서 유시민이 종종 보여준 태도이다.

유시민이 계속 윽박질러서 김진화가 충분히 얘기 못했지만, 김진화는 정부 당국에서 암호화폐를 유가증권이라고 해석했다고 언급했다. 나는 이게 제일 그럴싸한 접근법이라 본다. 상품권이라고 봐야 한다. 상품권인데 구두만 살 수 있는 게 아니고 다른 것도 살 수 있다. 근데 지금 당장은 아무도 구두 사는 데에 암호화폐를 쓰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유가증권으로서의 성격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유시민의 두번째 포인트인, 비트코인의 기술적 문제. 여기에 대해서는 비트코인은 망했다  에서 마이크 헌(Mike Hearn)이 자세하게 설명해두었다. 하지만 주목할 것은 이 기술적 문제는 비트코인에 한정된 것이다. 모든 암호화폐에 적용되는 '망할 이유'는 아니다. 유시민이 언급한 기술적 문제점은 비트코인에 한정된 것인데, 마치 모든 암호화폐에 동일한 기술적 문제가 있다는 듯이 주장한 것은 또다른 윽박지름이다. 여기서 그 대단한 '새끼돼지는 커서도 돼지다'라는 비유가 나오는데, 암호화폐는 태생적으로 기술적 문제가 있기 때문에 현금이나 신용카드보다 열등한 거래수단이라는 주장이다. 비트코인에 대해서 맞는 주장이 다른 암호화폐에도 맞지는 않는다는 것은 유시민 본인이 토론에서 인정했지만, 슬쩍 뭉개면서 모든 암호화폐가 그렇다고 일반화해버린다. 그러다가고 스스로 암호화폐 전문가가 아니라고 잘 모른다면서 혹시라도 있을 반론에 대한 방어막은 쳐둔다.

'거래소 폐지' 주장은 유시민이 궁극적으로 관철시키고자 했던 입장이다. 학생이 등록금을 집어넣고, 주부가 생활비를 집어넣는 투기 광풍이 불고 있다. 거품이 꺼지면 이 사람들이 피해를 받는다. 그래서 이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거래소를 폐기해야 한다. 이걸 두고 또 비유를 하는데, 블록체인이라는 건축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 기술로 도박장을 만드니까 도박장만 폐쇄하자는데 건축기술을 없애자는 거냐며 반대하고 나선다라는 비유이다. 이 정도 시장을 갖고 도박장이라고 말하는 게 맞는지는 일단 모르겠다. 내 기준에는 이 정도는 아무것도 아닌데. 주식시장에 버블이 낄 경우는 역사적으로 아주 많았는데, 그 때도 주식시장 없애자는 주장을 유시민이 할 것인지 궁금하다. 주식은 내재가치가 있으니까 다르다고 할 건가? 주식은 내재가치가 있고 암호화폐는 내재가치가 없다는 아리송한 주장은 그냥 내가 인정하고 넘어간다 하더라도, 주식시장에서 망해나간 개미들이 많을 때조차도 주식시장을 폐지하기보다는 다양한 제도를 도입해서 개미들을 보호하려고 했던 게 역사적 경험 아니었나? 물론 그 과정에서 개미들이 제대로 보호된 적은 없었지만, 그래도 주식시장을 폐쇄한 적은 없었다.

사실 나는 도박장은 폐쇄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그렇다면 강원랜드 폐쇄해야 하고, 경마장 폐쇄해야 하고, 경륜장 폐쇄해야 한다. 근데 그런 이야기는 안 하네. 유시민이 지금껏 그런 얘기를 했는지는 확인 못해봤지만, 지금까지 강원랜드가 끼친 해악이 비트코인이 끼친 해악보다 더 큰 것 같은데, 여기에 대해서는 유시민은 생각이 다른 것 같다.

유시민과 김진화의 입장은 사실 크게 충돌하지 않고 조율될 수도 있었다. 현재의 무한 자유를 누리는 것 같은 거래소에 주식거래소 같은 정도의 규제를 부과하면 될 것이다. 그래서 외환거래법 위반이나 상속세/증여세 포탈 같은 행위를 적발할 수 있도록 하고, 유가증권의 거래라고 해석한다면 양도소득세도 물려야 한다. 그 정도면 충분하다. 근데 유시민은 굳이 '거래소 폐쇄'를 외쳤다. 이에 대해서는, 유시민이 처음부터 어떤 목적을 갖고 토론에 임했던 것으로 보인다. 

Friday, January 19, 2018

구글도 무거운 기업이 되었나?

구글은 블록체인 열풍에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내가 모르는 구글 사무실 깊은 곳에서는 뭔가 하고는 있겠지만...

Steemit 같은 퍼블리싱 서비스가 지식제공자들을 확 끌어모으는 동안 구글은 Blogger의 사용자 기반 확대를 위해 하는 일이 아무 것도 없어 보인다.

Steemit에 비하면 Google Ads는 매우 구시대적으로 보이는데도 말이다.

구글은 blogger 서비스를 서서히 없애버리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게 정말 잘못된 생각이라고 전달하고 싶다.

사람들이 서서히 SNS에 물려하는 경향이 있는 와중에, 블로그처럼 긴 글을 쓸 수 있는 플랫폼을 그리워하는 경향도 보인다. 페이스북에도 긴 글을 쓸 수 있긴 하지만, 그건 워낙...

Steemit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성장은 그들이 그 당시 블로그에는 없던 매우 강력한 connectivity를 제공해주는 서비스였기 때문이다. 근데, 지나친 실명 기반의 connectivity에 지치기도 하고 글의 내용만 가지고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플랫폼을 바라는 수요는 항상 존재해왔기 때문에 브런치라든지 Steemit이라든기 Medium 같은 서비스가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와중에 blogger는 매우 넓은 사용자 기반을 바탕으로 connectivity를 강화할 수도 있었고 현재처럼 글을 사람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성격을 집어넣을 수 있었는데도, 구글은 아무 것도 안 하고 있다. 

Monday, January 08, 2018

스티글리츠 교수 - 한미 FTA 재협상은 실수

오늘자 매경에 스티글리츠 교수가 2018년 전미경제학회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 FTA 재협상은 큰 실수라고 주장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전미경제학회(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홈페이지에 들어가 봤는데, 보다 차분한 톤의 페이퍼 두 개가 서브밋 된 거였다.

Trump and Globalization
Joseph E. Stiglitz, Columbia University

Abstract
In his campaign, Trump proposed to not only impose large tariffs against Mexico and China, but to renegotiate trade agreements. Protectionism was at the core of his agenda. At this juncture, it appears that the post-World War II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order may be under attack. As we approach the end of the first year of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question is: to what extent has he in fact up-ended the old order? What are the consequences? What has (or will) replace it? What will be the effects on living standards in the US and around the world?

Making Trade Globalization Inclusive
Joseph E. Stiglitz Columbia University

Under standard neoclassical assumptions, trade globalization was predicted to lower incomes of unskilled workers in advanced countries, in the absenc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t is not a Pareto improvement. Making matters worse, trade agreements have includ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visions and investment agreements which too have distributional effects, in some cases compounding the effects which arise from trade liberalization directly. (All of these effects arise and can be important even if most of the adverse impacts on unskilled workers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technology.)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design of Pareto improving trade liberalization packages, both the design of the trade agreements themselves and accompanying policy measures. It explores how the design of such trade packages may depend on the underlying assumptions about the functioning of the economy, e.g. the absence of certain risk markets and the presence of certain rigidities impairing the ability of the economy to maintain full employment. This theoretical analysis sets the state for an examination of current trade policies. The current Administration has proposed renegotiating trade agreements. Protectionism was at the core of his agenda. At this juncture, it appears that the post World War II global economic and political order may be under attack. As we approach the end of the first year of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question is: to what extent has he in fact up-ended the old order? What are the consequences? What has (or will) replace it? What will be the effects on living standards in the US and around the world? Will the new trade regime succeed in raising living standards? Will it making trade globalization more inclusive?

스티글리츠 교수의 주장에는 동의한다. 한미 FTA 재협상에서 미국이 원하는 것을 다 들어줘도 한-미 간 교역수지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이다. 어떤 이들은 트럼프의 치킨게임 같은 협상이 훌륭하다고 칭송하지만, 치킨게임도 약빨이 다되어 가는데다가, 치킨게임으로 표면적인 협상은 이겼어도 내실을 따져보면 자랑할 게 없다.

Playerunknown's Battleground

한 번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나는 게임용 컴퓨터도 없고, 게임할 시간도 없다.




http://store.steampowered.com/app/578080/PLAYERUNKNOWNS_BATTLEGROUNDS/

FT의 2018년 전망

파이낸셜타임즈에서 2018년 전망을 했다. 일부 질문들은 영국인에게 중요한 것 같긴 한데, 세계인들에게 공통적으로 중요한 질문들이 대부분이다.

https://www.ft.com/content/d18f4518-eca7-11e7-bd17-521324c81e23

1. Will Theresa May remain prime minister in 2018?
이게 대표적으로 영국인의 질문이다.

2. Will the UK economy be the slowest-growing in the G7?
역시 영국적인 질문이다. 2018년에 영국 경제의 성장률이 얼마인지 궁금해할 사람이 영국인들말고는 얼마나 있을까?

3. Will Emmanuel Macron secure a commitment from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on a eurozone budget?
유로존의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긴 하다. 근데 세번째로 중요한 질문을 아닌듯.

3. Will the Democrats take back the majority in the midterm election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미 하원의 중간선거는 매우 중요하다.

4. Will impeachment proceedings begin against Donald Trump?
가십거리로는 의미있어 보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될 것인가? 난 부정적으로 본다.

5. Will Trump trigger a trade war with China?
이 질문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6. Will China’s reported gross domestic product growth surpass 6.5 per cent?
당분간은 매년 중요한 질문이 될 중국의 경제성장. 올해도 수치상으로는 6% 이상을 맞추어낼 것으로 보인다.

7. Will the BoJ tighten monetary policy?
일본의 통화정책은 중요하긴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큰 변화를 기대하지 않는 분야.

8. Will emerging market GDP growth pass 5 per cent?
세상 모든 나라가 얽혀서 돌아가는 세계 경제에서, 이 질문은 5번과 6번 질문과 연결되어 있다. 미국 정부가 QE를 줄인다는 계획, 연준이 금리를 3번 정도 인상하겠다는 신호, 그리고 보호무역주의의 득세가 엮여서 신흥시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지만 5%의 성장률은 맞추지 않을지?

9. Will Indian Prime Minister Narendra Modi try any more unorthodox economic experiments?
인도 정치는 ...

10. Will the Saudi Aramco public offering debut on an international market?
2017년 이코노미스트의 인기 기사 중에 하나가 '가장 가치 있는 재화는 석유가 아니라 데이터'였다. 석유 헤게모니라는 게 미국의 셰일 가스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에서 사라져버린 듯. 원유 가격은 50달러 이상으로 올라갈 수 없다는 선언을 셰일 가스 업계에서 해버린 셈이라.

11. Will José Antonio Meade be the next president of Mexico?
멕시코 정치.

12. Will Zimbabwe’s new leader hold — and win — fair elections?
짐바브웨 정치는 라이베리아 정치만큼이나 중요하다.

13. Will the AT&T/Time Warner merger go through without big remedies (such as the sale of CNN)?
미국내 대규모 인수합병건. 근데 AT&T와 Time Warner는 시대의 아이콘이 아닌데. 구글이나 페이스북이 유럽에서 반독점법 위반으로 과징금 얻어맞는다는 소식이 더 중요할듯.

14. Will Tesla produce more than 250,000 Model 3s?
의미 있는 질문이긴 한데, 테슬라가 확고부동한 1위 기업이 아니며 다른 자동차회사들도 전기차로 바짝 쫓아오고 있어서 2018년의 전기차 메이커가 누가 될지는 아직은 모르는 상황.

15. Will the S&P 500 finish the year above 2,650?
네.

16. Will the 10-year Treasury yield finish the year above 3 per cent?
미국 10년채 일드가 3%를 넘을 것인가? 이건 꽤 복잡한 질문.

17. Will oil finish 2018 above $70 a barrel?
FT는 70달러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2018년에는 원유 가격이 중요한 시대가 아닐 것.

18. Will a stable and liquid bitcoin futures market develop?
이건 별개의 긴 글이 필요하다. 그리고 질문의 중요도 순위에서는 좀더 위로 올라가야 한다.

19. Will a nation other than Brazil, Germany or Spain win the World Cup?
올해가 월드컵이 열리는 해이지.

팟캐스트 추가 구독 - Lawyer 2 Lawyer

<Roll Call> Elizabeth Thompson, Lady Butler

팟캐스트 시장도 많이 변했다. 2017년 팟캐스트 시장의 가장 큰 변화로 꼽을 만한 것은, 직업 팟캐스터가 생겨났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그것은 알기 싫다', '요즘은 팟캐스트 시대'를 운영하는 UMC는 아예 회사를 운영하면서 수익도 꽤 내고 있는 것 같고, '필스교'양을 운영하는 이용은 자칭 직업 팟캐스터이며, '요팟시'와 '우리는 꽤나 진지합니다'를 진행하는 안승준 역시 팟캐스팅을 직업으로 삼으려고 하는 것 같다.

작년에 종료된 '지대넓얕'은 팟캐스트를 직업으로 생각하지는 않은 것 같다. 4명의 참가자들은 팟캐스트를 직업이라기보다는 한 번의 재미있는 기획 정도로 생각했던 것 같다. 돈을 버는 것도 팟캐스트에서 직접적으로 산출되는 광고 수익보다는 자기들이 하던 일을 '지대넓얕'이 잘 홍보해주면서 수익이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찌됐든, 팟캐스트는 미디어계의 새로운 흐름이 되어버렸다. 아프리카 BJ나 유튜버와는 다른 업계이다. 아프리카나 유튜브는 동영상 시청을 매체로 하고 팟캐스트는 소리만을 매체로 한다. 이 차이는 과거 TV와 라디오가 다른 역할을 하던 시절과 비슷하게 각각이 다른 영역을 차지하도록 한다. 이런 차이로 인해서 방송의 내용도 달라지는데,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있는 컨텐츠는 게임이며 팟캐스트의 인기 컨텐츠는 각종 전문 분야라는 것에서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올해 새로 듣기 시작한 팟캐스트가 2개 있다. Robert Ambrogi와 J. Craig Williams가 진행하는 법률 관련 팟캐스트이다. 무려 2005년에 시작했다고 하는데, 정작 나는 올해가 되어서야 듣기 시작했다.
Lawyer 2 Lawyer is an award-winning podcast covering relevant, contemporary news from a legal perspective. Hosts Bob Ambrogi and J. Craig Williams invite industry professionals to examine current events and recent rulings in discussions that raise contemplative questions for those involved in the legal industry. Launched in 2005, Lawyer 2 Lawyer is one of the longest-running podcasts on the Internet.
미국의 법률 산업의 다양한 면을 보여주기도 하고, 특히 법률 분야 스타트업을 소개해주는 내용이 좋다. 한국도 법률 관련 스타트업을 하는 사람들이 있긴 한데, 팟캐스트로 소개될만큼 많거나 깊지는 않은 듯 하다.

두번째는 그 유명한 말콤 글래드웰이 만드는 Revisionist History이다. 제1화는 Elizabeth Thompson, Lady Butler 이야기이다. 첫 에피소드이니 매우 센세이셔널하게 시작하려고 노력한 티가 난다. Elizabeth Thompson Butler의 Roll Call에 대해 설명하면서 moral license라는 심리기제를 설명하고, 그 결과로 여성들, 흑인들에 대한 차별이 영속되어 오는 구조를 설명한다. 21세기 호주에서도 현재 진행 중인 여성 혐오.



러시아의 코로나 확진자 증가 추세

연해주 지역은 9월만 해도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60명대로 떨어져서 조만간 종식되는가 했었는데, 10월 되니까 숫자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10월 19일에는 115명이 신규 확진. 3명 사망.  러시아 전체로는 신규확진자가 10.19일에 1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