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에 클리앙에 가상화폐당이 생길 때 좀더 신경을 쓸 걸 하는 생각이 들긴 한다. 4월경에 주변 사람들에게는 가상화폐 신경 쓰라고 말하고 다녔지만 정작 나는 하나도 사지 않았다. 지금은 약간 후회가 되긴 하지만, 후회는 올해 초에 가상화폐를 안 산 것에 발을 담근 것은 아니다. 몇년 전에 여윳돈을 비트코인에 넣어두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지. 2008년 경제위기 때에 BoA를 안 산 것에 대한 후회를 꽤 오랫동안 갖고 있었던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을 위시한 사설 가상화폐의 결말에 대해서는 나름의 확신을 갖고 있다. 그래서 비트코인을 올해 초에 사지 않은 것이다라고 스스로를 위안한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사람들이 여러 가지 얘기를 했지만, 다 비슷하다.
1. 가치가 안정적이지 않은 거래수단은 화폐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실제로 지금처럼 가치가 요동치는 시절에 비트코인으로 피자를 사먹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2. 정부가 화폐의 흐름을 측량할 수 없는 수단은 정부 공인 지불수단이 되기 어렵다. 이에 대해서는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매우 다른 생각을 갖고 있긴 한데, 정부가 화폐의 흐름을 측량할 수 있어야 할 당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이다. 정부가 돈의 흐름을 장악해서 재정적 빅브라더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는 반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 듯 하다. 거시경제학만 들어보고 와도 그런 생각은 쉽게 깨질 것이다. 정부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통해 경제를 운용한다는 개념이 정교하게 발달되어 있지 않던 시절에는 경제가 매우 불안정했다. 그나마 여러가지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서 정부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잘 이해하게 되면서 현재처럼 비교적 안정적인 경제 속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통화로 거래가 이뤄지는 세상과, 비트코인이 주류 화폐로 이용되는 세상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그 답은 매우 명확하다.
3. 비트코인은 화폐량이 한정되어 있다.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그것마저 비트코인을 사야할 이유라고 주장한다. 투자의 대상으로서 비트코인을 본다면 일리가 있는 말이긴 하다. 하지만 경제의 혈액으로서는 비트코인은 낙제점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통화량의 지속적이고 적절한 속도의 확장이 경제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이해한다면 당연한 결론이다. 대안 가상화폐 중에서 통화량이 제한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긴 한데, 그것도 통화량이 늘어날수록 채굴속도가 느려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통화량 조절이 핵심적인 업무인 중앙은행의 역할을 가상화폐 채굴자들의 CPU/GPU 연산속도에 맡겨둘 수는 없는 일이다.
4. 가상화폐는 불법거래를 원활하게 한다. 가상화폐를 통한 거래도 결국은 다 추적이 가능하지만, 현재의 화폐 제도 하에서의 추적보다는 훨씬 어렵고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이는 국제거래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현재는 전신환송금으로 돈을 보낼 수 있는 한도가 정해져 있고, 현금 다량을 들고 비행기를 타는 것은 세관 공무원 면담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과 비슷한 행위이다. 하지만, 전자지갑(혹은 대범한 사람들은 평범한 USB 썸드라이브)을 들고 비행기를 탔을 때, 그 전자지갑에 가상화폐가 들어있는지 검사를 받게 될 확률은 매우 낮을 것이다. 물론 이것도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장점이라고 주장하지만, 정부의 입장에서는 비트코인의 거래를 전면 허용할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우야든둥, 가상화폐는 버블의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그래서 지금 올라타는 건 강심장이 아니라면 결정하기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보다는 post-bitcoin bust는 어떤 모양이 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더 나아 보인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여러가지 산업들이 생겨날 것이다. 그게 뭔지는 지금 모르겠다. 그래서 뒤져보는 중.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을 위시한 사설 가상화폐의 결말에 대해서는 나름의 확신을 갖고 있다. 그래서 비트코인을 올해 초에 사지 않은 것이다라고 스스로를 위안한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사람들이 여러 가지 얘기를 했지만, 다 비슷하다.
1. 가치가 안정적이지 않은 거래수단은 화폐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실제로 지금처럼 가치가 요동치는 시절에 비트코인으로 피자를 사먹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2. 정부가 화폐의 흐름을 측량할 수 없는 수단은 정부 공인 지불수단이 되기 어렵다. 이에 대해서는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매우 다른 생각을 갖고 있긴 한데, 정부가 화폐의 흐름을 측량할 수 있어야 할 당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이다. 정부가 돈의 흐름을 장악해서 재정적 빅브라더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는 반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있는 듯 하다. 거시경제학만 들어보고 와도 그런 생각은 쉽게 깨질 것이다. 정부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통해 경제를 운용한다는 개념이 정교하게 발달되어 있지 않던 시절에는 경제가 매우 불안정했다. 그나마 여러가지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서 정부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잘 이해하게 되면서 현재처럼 비교적 안정적인 경제 속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것이다. 현재의 통화로 거래가 이뤄지는 세상과, 비트코인이 주류 화폐로 이용되는 세상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그 답은 매우 명확하다.
3. 비트코인은 화폐량이 한정되어 있다.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그것마저 비트코인을 사야할 이유라고 주장한다. 투자의 대상으로서 비트코인을 본다면 일리가 있는 말이긴 하다. 하지만 경제의 혈액으로서는 비트코인은 낙제점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통화량의 지속적이고 적절한 속도의 확장이 경제성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이해한다면 당연한 결론이다. 대안 가상화폐 중에서 통화량이 제한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긴 한데, 그것도 통화량이 늘어날수록 채굴속도가 느려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통화량 조절이 핵심적인 업무인 중앙은행의 역할을 가상화폐 채굴자들의 CPU/GPU 연산속도에 맡겨둘 수는 없는 일이다.
4. 가상화폐는 불법거래를 원활하게 한다. 가상화폐를 통한 거래도 결국은 다 추적이 가능하지만, 현재의 화폐 제도 하에서의 추적보다는 훨씬 어렵고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이는 국제거래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현재는 전신환송금으로 돈을 보낼 수 있는 한도가 정해져 있고, 현금 다량을 들고 비행기를 타는 것은 세관 공무원 면담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과 비슷한 행위이다. 하지만, 전자지갑(혹은 대범한 사람들은 평범한 USB 썸드라이브)을 들고 비행기를 탔을 때, 그 전자지갑에 가상화폐가 들어있는지 검사를 받게 될 확률은 매우 낮을 것이다. 물론 이것도 비트코인 지지자들은 장점이라고 주장하지만, 정부의 입장에서는 비트코인의 거래를 전면 허용할 수 없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우야든둥, 가상화폐는 버블의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그래서 지금 올라타는 건 강심장이 아니라면 결정하기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보다는 post-bitcoin bust는 어떤 모양이 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더 나아 보인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여러가지 산업들이 생겨날 것이다. 그게 뭔지는 지금 모르겠다. 그래서 뒤져보는 중.
No comments:
Post a Comment